40대 취업자 21년만 최저치...점점 더 얇아지는 ‘경제 허리’
지난해 40대 취업자 총 617만9000명
2014년 정점 이후 10년 연속 하락세

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(KOSIS)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는 총 617만9000명으로, 전년대비 8만1000명 감소했다.
2023년(-5만4000명)보다 감소 폭이 확대하면서, 지난 2003년(605만명) 이후로 가장 작은 규모로 줄어들었다.
40대 취업자는 꾸준히 상승세를 그리며 지난 2014년 689만6000명까지 불어났지만, 이후로는 ‘하락세’로 돌아섰다. 2022년 소폭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10년간 가파른 감소세가 이어졌다. 이 과정에서 약 70여만개 일자리가 증발했다.
직접적인 영향 중 하나로 인구구조 변화가 지목된다. 40대 인구는 2014년(871만명) 정점을 찍고 10년 연속으로 감소하면서 지난해에는 781만명으로 줄었다.
고질적인 내수 부진도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. 40대 종사자 비율이 높은 ▲건설 ▲도소매 ▲부동산 등의 내수업종 부진이 이어지면서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.
‘이른 퇴직’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. 통계청의 ‘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’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55~64세 취업경험자가 가장 오랜 근무한 일자리에서 퇴직한 평균연령은 49.4세로 50세를 밑돌았다.
ⓒ이코노미스트(https://economicdaily.org) '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'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많이 본 뉴스
1민주당, 김건희 여사 녹취 공개...“극우·극좌 없어져야”
2오리온이 ‘생(生)감자칩’ 원료로 특허 낸 ‘이 감자’
3윤상현 "불법수사 자행한 검찰총장 사퇴하고, 윤석열 대통령 즉각 석방하라"
4트럼프 취임 첫 주 지지율 45%...취임 직후보다 소폭 하락
5“하루만 넣어도 이자가”...설날 세뱃돈, 고금리 파킹통장에 넣어볼까
6설 명절, 사위가 듣기 부담스러워하는 말 “자고 가라”
7설 당일 문 연 병원 어디 있나...비대면 진료 플랫폼으로 찾는다
8지구 멸망까지 남은 시간 “89초”
9모건스탠리 “韓 경제성장률, 1.5%에 그칠 것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