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설 선물 대신 OO 주는 회사 늘었다"...바뀐 설 분위기
과일, 생필품 선물상자 대신 현금, 상품권 지급

실제 상품권을 지급하는 회사로는 이마트가 있다. 이마트는 임직원에게 최대 15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인 '이마티콘'과 설 상여금을 준다. 롯데호텔은 L포인트를 지급하고 롯데칠성음료는 복지 포인트를 지급한다.
현금을 주는 회사도 많다. 현대차는 '귀향비' 명목으로 110만원 지급하고 LG전자는 기본급 100% 수준의 설 상여를, 포스코는 100만원 가량의 상여금을 준다. HD현대 역시 50만~70만원의 '귀향비'를 준다.
선물보다 실용적인 상품권과 현금을 선택해 지급하는 모습이다.
업계 관계자는 "괜찮은 과일 상자를 선물하려면 6만~7만원이 든다"며 "차라리 자사 관련 포인트 상품권을 지급하면 회사 입장에서는 비슷한 비용을 쓰면서도 다시 수익을 챙길 수 있어서 좋다"고 말했다. 또 이어서 "특히 직원들의 반응이 선물보다는 현금이나 상품권을 더 선호하는 분위기"라고 덧붙였다.
한편 고물가 시대에 설 선물세트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실속형 제품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한 대형마트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올해 설 선물세트 구매 예산이 5만~10만원이라는 응답이 21.7%로 지난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고 50만원 이상 쓰겠다는 응답은 3%에 그쳤다. 또 상품 한개당 예산은 5만원 이하로 하겠다는 답변이 43%로 가장 많았다.
ⓒ이코노미스트(https://economicdaily.org) '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'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많이 본 뉴스
1민주당, 김건희 여사 녹취 공개...“극우·극좌 없어져야”
2오리온이 ‘생(生)감자칩’ 원료로 특허 낸 ‘이 감자’
3윤상현 "불법수사 자행한 검찰총장 사퇴하고, 윤석열 대통령 즉각 석방하라"
4트럼프 취임 첫 주 지지율 45%...취임 직후보다 소폭 하락
5“하루만 넣어도 이자가”...설날 세뱃돈, 고금리 파킹통장에 넣어볼까
6설 명절, 사위가 듣기 부담스러워하는 말 “자고 가라”
7설 당일 문 연 병원 어디 있나...비대면 진료 플랫폼으로 찾는다
8지구 멸망까지 남은 시간 “89초”
9모건스탠리 “韓 경제성장률, 1.5%에 그칠 것”